페이지랭크(10)
-
블로그 검색 최적화 노하우 유사문서 절대금지
유사문서는 말 그대로 2회 이상 올려진 유사한 문서를 말한다. 내가 운영중인 블로그라 하더라도 2개 이상의 비슷한 글을 올리는 것은 블로그의 검색랭킹에 나쁜 영향을 준다. 또 내 블로그에 작성한 글을 다른 블로그에 똑같이 올리는 것도 좋지 않다. 약 1주일 전에 필자는 네이버 블로그에 올린 맛집글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올려보았는데 이 때 아주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직접 경험한 사례를 들어 유사문서에 얼마나 검색엔진이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에 올렸던 성산동 맛집 당가원 글을 복사하여 블로거팁닷컴에 제목만 바꾸고 이미지들은 크기만 조정하여 올렸다. 여기서 배운 교훈을 정리한다.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을 간파한 확실한 계기 심증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내가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2017.06.08 -
네이버가 씨랭크 검색 알고리즘 들고 나온 진짜 이유
저품질에서 탈출시켜주겠다며 200만원을 부르는 사기꾼들로 오늘도 네이버 검색나라는 평화롭다. 홍보/광고글로 도배하는 블로그에서 작성한 글은 검색결과에서 제외된다는 저품질 이슈는 순진한 양들을 꾀어내 돈을 벌려는 사기꾼 늑대들의 질좋은 미끼가 된 지 오래다. 네이버는 씨랭크(C랭크)라는 검색 알고리즘을 앞세워 질좋은 콘텐츠를 검색결과 상위에 노출시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One of Them이 되어버린 네이버 C랭크의 주요골자는 결국 콘텐츠 작성자의 신뢰도를 평가해 검색결과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자기들만의 검색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검색결과를 보여주던 네이버가 콘텐츠 신뢰도를 부르짖는 이유는 네이버의 콘텐츠 신뢰도 하락에서 연유를 찾을 수 있다. 네이버에서 맛집이라고 찾아서 갔는데 ..
2017.05.11 -
DAUM 검색에서도 밀려나는 티스토리 블로그 작성글
티스토리 블로그를 2007년부터 시작했으니 정확히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블로그 서비스 네이버 독점시대가 오기 전만 하더라도 티스토리는 스킨 편집의 자유로움, 파일 업로드 용량 제한 없음 등 나름의 메리트를 가진 서비스였다. DAUM에서 운영할 당시에는 자사 블로거를 대상으로 소박한 이벤트도 하고 이용자에게 신경을 쓰는 모습이었다. 그런데 카카오가 티스토리를 인수하면서부터 티스토리는 말 그대로 '버려진 서비스'가 됐다. 블로그/포스트 데이를 열거나 블로그/포스트 댓글, 공감창에 대한 건의 제안 이벤트를 여는 등 수시로 자사 콘텐츠 생산자들의 의견을 묻고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네이버와 달리 티스토리는 하는 일이 거의 없다. 최근에는 썸네일 이미지가 보이지 않는 등 장애만 부쩍 늘고 있어 충성심 있는 이..
2017.03.29 -
블로그 영향력 연구
블로그 영향력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댓글을 떠올리는 이들이 있다. 댓글이 많이 달려있으면 그 블로그를 영향력이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블로그 운영 초기에 필자의 블로그에는 하루 50개~1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렸으나 지금은 하루에 3~5개, 어떤 날은 스팸 댓글 외에는 댓글이 없는 날도 있다. 필자의 블로그에 방문하는 이가 적어서 그런 걸까? 혹은 블로그 시대가 지나버려서 그런걸까? 필자는 직장생활을 하기 전,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낼 당시 하루 50-100개 정도의 댓글을 이웃블로그에 남겼다. 그 결과 필자 블로그에는 매일 적게는 30개 많게는 1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렸었다. 싸이월드의 미니홈피가 유행하던 시절을 떠올려보자. 내가 친구들 미니홈피에 방문해 일촌평을 많이 달고 다닐수록 내 미니..
2013.12.22 -
파워블로그 선정의 기준과 방향
블로그 서비스는 해마다 파워블로그, 우수블로그 라는 이름의 우수블로그 명단을 발표한다. 네이버 파워블로그, 티스토리 우수블로그, 이글루스 TOP100 블로그가 대표적이다. 이글루스 TOP100 블로그는 작년부터 탑100 블로그 선정을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이는 얼떨결에 우수블로그에 선정돼 기쁨의 글을 올리는가 하면 어떤 이는 “나도 열심히 했는데 왜 안 뽑아줘”라는 속내를 숨긴 채 “도대체 우수블로그 선정기준이 뭐야?”라고 의문을 던진다. 우수블로그, 파워블로그를 어떻게 선정해야 할지 아리송한 포털 블로그/커뮤니티 담당 직원, 정부기관 뉴미디어 담당자들을 위해 준비했다. 사진 Mila Supinskaya 웹의 근본은 연결, 링크 블로그의 영향력을 오직 방문자수에만 의존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은 우리..
2013.11.18 -
내 블로그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해보기 SITE PRICE
블로그를 비롯해 웹사이트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해 보여주는 곳을 소개합니다. 사이트 프라이스에 들러 블로그 주소만 입력하면 블로그의 가격을 매겨줍니다. 단, 네이버나 티스토리와 같이 포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객관적인 가격을 받아볼 수 없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를 예로 들면 주소를 입력하더라도 개인이 아닌 네이버 블로그 도메인(http://blog.naver.com) 가격으로 환산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저처럼 독립도메인을 이용하는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이들에게 유용합니다. SITE PRICE http://www.siteprice.org/ 빈칸에 도메인(블로그 주소)을 입력하고 Calculate 버튼을 누르세요! 내 블로그의 가격이 나타납니다. 구글 페이지랭크, 소셜미디어 노출도 등..
201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