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954)
-
블로그 포스트의 길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글의 길이가 어째서 중요한 것일까요?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분이라면 예전에 다음 카페나 커뮤니티 혹은 블로그를 돌아다니며 글을 읽었던 경험이 한두번쯤은 있으실 겁니다. 너무 긴글은 끝까지 읽기가 싫어진 경험 한번씩 있으시죠? 반대로 너무 짧은 글도 읽고 나면 허무하기도 하고 성의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이걸 누구 코에다 부쳐? 이런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고로 어느 정도의 길이로 글을 쓰는것이 독자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줄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사진 Beccarra 독자가 집중할수 있는 만큼의 길이가 좋다! 보통의 블로그 글을 읽는 독자들이 온라인으로 글을 읽을때는 집중시간이 짧습니다. 블로그에 독자들이 얼마나 머무르는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참고하면 평균적으로 블로그의 글을 읽는 독자들은 ..
2007.07.09 -
용어알기 Vol.01 블로그 (WEBLOG, BLOG)
블로그란? 웹(web) 로그(log)의 줄임말로,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일반인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칼럼·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출판·개인방송·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일종의 1인 미디어이다.웹 게시판, 개인 홈페이지, 컴퓨터 기능이 혼합되어 있고, 소프트웨어를 무료 또는 싼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지식이 없어도 자신의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블로그 페이지만 있으면, 누구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 방식을 이용해 자신의 의견이나 이야기를 올릴 수 있고,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사진 자료를 올릴 수 있는 새로운 개..
2007.07.09 -
용어알기 Vol.02 포스트 (POST, ENTRY)
포스트란? 블로그의 기본이 되는 글 단위를 포스트라고 하고, 글을쓰는 것을 "포스트를 쓰다" 라고 말합니다. 블록의 구성요소 중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랍니다. 엔트리라고 부르기도 하고 게시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반 게시판이나 카페의 글 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제 블로그의 글쓰기팁 이라는 폴더를 클릭했을때 검색된 글(포스트) 목록입니다. 빨간색 박스로 체크된 곳에 21 POSTS 라고 되어 있는게 보이시나요? 바로 스물한개의 포스트(글) 가 검색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D ♡ 포스팅이 유익 하셨다면 블로거팁 닷컴을 구독하세요->
2007.07.09 -
용어알기 Vol.03 코멘트 (COMMENT, 댓글, 덧글)
코멘트란? 코멘트는 원 게시물 밑에 짧게 덧붙이는 글을 말합니다. commnet는 주석이라고 번역되지만 한국의 게시판 문화에서는 답글, 댓글, 덧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는 토크백(talkback) 등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용어가 여러 가지인 이유는 댓글의 형태가 최근 몇 년 사이에 많이 변화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댓글이나 덧글을 코멘트라고 합니다. :D ♡ 포스팅이 유익 하셨다면 블로거팁 닷컴을 구독하세요->
2007.07.09 -
용어알기 Vol.04 트랙백 (TRACKBACK, 관련글)
트랙백이란? 트랙백은 원격 댓글을 쓰고 이를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초기 블로그에는 없던 새로운 기능입니다. 트랙백은 댓글(reply, 답글), 덧글(comment, talkback 등) 기능의 확장판이라고 보면 됩니다. 기존의 답글과 덧글은 해당 게시판에 독자가 게시물을 읽고 난 뒤 답변이나 감상문을 적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덧글은 해당 게시물 밑에만 남겨집니다. 트랙백은 이보다 좀더 개선된 기능으로 다른 곳에 댓글을 남기는 기능입니다. 즉 해당 게시물에 대해 댓글이나 덧글을 달되 다른 사이트에서 원격으로 덧글을 다는 행위입니다. 이전에는 A 사이트의 '장터' 게시판 '1번' 게시물에 대해 덧글을 남길 경우 이 덧글을 보기 위해서는 A 사이트 장터 게시판 1번 게시물을 읽어봐야만 덧글을 볼 수 있습니다...
2007.07.08 -
용어알기 Vol.05 펌링크 (PERMALINK, 고유주소)
펌(퍼머링크)링크란 블로그에 등록된 게시물은 고유의 주소를 가지게 됩니다. 각 게시물의 고유 주소를 전문 용어로 퍼머링크라고 합니다. 게시물의 주소를 고유주소라고 하는 것은 중간에 게시물이 삭제되어도 처음 주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게시판에 글을 작성하면 하나의 DB에 여러개의 게시물이 기독되지만 블로그에 작성한 글은 HTML 문서로 저장되어 각 게시물이 다른 HTML 문서로 저장됩니다. :D 아래의 그림에서 살펴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주소가 파란색으로 된 글의 고유주소 즉 펌링크가 되는 것입니다. ♡ 포스팅이 유익 하셨다면 블로거팁 닷컴을 구독하세요->
200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