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5)
-
티스토리 블로그 피드버너로 구독자 관리하기
피드(Feed)는 '먹이', '수유'라는 의미를 가진 영단어입니다. 버너의 Burn은 '굽다'라는 의미이고요. 그럼, 피드버너는 '먹이를 굽는 거?', 도무지 무슨 의미인지 알아듣기가 힘듭니다. 웹상에서 Feed는 '먹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콘텐츠 생산자가 콘텐츠를 구독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콘텐츠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Burn은 CD를 '굽다' 라고 할 때의 Burn을 생각하면 되고요. 'CD를 굽는다'는 말은 'CD에 동영상, 음악, 파일등을 저장한다' 라는 의미인데요. 피드버너의 Burn은 구독자가 콘텐츠를 편하게 받아볼 수 있도록 구워주는 것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다시 말해 피드(Feed)를 날생선에 비유한다면 바로 먹기엔 해충도 있고 갖가지 세균에 노출될 위험이..
2013.05.16 -
RSS 피드를 제출, 홍보할수 있는 웹사이트 15개와 방법
블로그 RSS를 홍보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RSS 피드를 제출하고 등록할수 있는 웹사이트 혹은 RSS리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돌아다니며 직접 RSS 주소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지금 소개해 드리는 15개의 웹사이트는 제가 직접 돌아다니며 RSS 주소를 제출한 웹사이트 목록입니다. Feedest 라는 웹사이트를 기준으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나머지 모두 비슷한 방식입니다. ☞ Feedest로 접속합니다. http://www.feedest.com/feedAdd.cfm 빈칸에 피드(RSS) 주소를 입력하고 Submit 버튼을 누릅니다. ☞ 피드가 추가 되었다고 나옵니다. been added를 눌러 최근에 등록된 피드의 리스트를 함 볼까요. ☞ 19분이 지난 시각 확인해..
2008.10.14 -
이메일 구독기능을 제공해야 하는 이유와 추가방법
RSS 리더 전문 웹사이트 중에 이메일 구독 기능을 제공하는 곳이 몇 군데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피드버너의 이메일 구독기능을 들수 있겠어요. 블로그에는 RSS 추가 혹은 홍보 버튼만 올려 놓으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이유 때문에 이메일 구독기능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옵션을 본의 아니게 떼어버린 상태인데 얼른 이메일 구독옵션을 추가해 놓아야겠어요. 1. RSS가 생소한 사람이 더 많다. 블로그를 이제 막 접한 분이거나 혹은 블로그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내 블로그를 구독하고자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블로거에게 RSS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알게 되는 용어이지만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고 또 운영할 계획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분들에게는 참 생소한 단어가 아닐..
2008.05.26 -
블로그 수익모델, PHEEDO
PHEEDO 특징 피두는 기존에 소개해 드린 다른 블로그 광고모델과는 달리 피드 사이에 배너광고나 텍스트광고를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가시면 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http://www.pheedo.com/site/adv_ad_examples.php 피드사이에 광고가 노출되는 방식이라니 무척 신선합니다. 퍼블리셔로 등록할 때에 국가명 옵션에 우리나라도(Korea, Republic of) 있긴한데 과연 한글 블로그가 통할지는 의문입니다. PHEEDO 참여방법 ☞ 피두에 접속합니다. http://www.pheedo.com/ 우측에 위치한 퍼블리셔란의 Get Started 버튼을 누릅니다. ☞ 빨간색으로 표시된 Get Started Now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 ..
2008.05.12 -
글마다 RSS 구독권유글과 버튼을 삽입하자
블로거팁 닷컴의 포스트들을 보면 아시겠지만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블로거팁 닷컴을 구독하세요" 라는 글을 포스트 끝에다 위치시켜놓고 그 옆에 RSS 추가버튼을 작성해 놓았습니다. RSS 구독자가 블로그의 가치를 측정하는 가장 객관적인 기준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RSS 구독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구독자 수가 많은 블로그일수록 양질의 글이 많고 구독할만한 가치가 있는 좋은 블로그라는 추측을 하게 되고 또 그렇게 구독자수가 많은 블로그는 역시나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이 되더라구요. 구독자수를 늘리는 방법중에 양질의 컨텐츠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누구나 할만한 이론은 차치하고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저의 경우를 살펴보면 블로거팁 닷컴으로..
2007.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