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42)
-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이 선정한 100권의 추천도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학부생들이 기본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독서마일리지제를 시행하면서 100권의 추천도서를 선정했다. 도서 목록 선정에는 카이스트 교수 및 외부인사가 참여했다. 다른 학교의 권장도서나 추천도서 목록에 비해 손이 가는 책들이 많다. 책 보다는 수험서를 보는 일이 더 잦을 수밖에 없는 교육환경을 참고해 만든 목록인 것으로 보였다. 학부생들에 대한 배려가 아니었을까?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억지로 어려운 책을 읽는 것만큼 고역도 없기 때문이다. 과학예술 분야 1. 엘러건트 유니버스 (브라이언 그린 저/박병철 역 | 승산 | 2002년 03월) 2. 인간 등정의 발자취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저/바다출판사 | 2004년 04월)3. 빈 서판 (스티븐 핑커 저/김한영 역 | 사이언스북스 | 2..
2015.01.26 -
포항공대 학생들을 위한 독서권장도서 100선
카이스트와 더불어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으로 꼽히는 포항공대(포스텍, POSTECH)이 학생들을 위한 독서권장도서 100권을 선정했다. 다른 대학의 권장도서와 달리 과학기술, 문학예술, 인문사회 3개 분야로 나눠 소개했다. 문학예술 분야 43번에 소개된 무진기행은 천재작가 김승옥의 단편소설로 누구나 어렵지 않게 술술 읽을 수 있어 추천하고 싶다. 민음사의 무진기행에는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생명연습' 등 김승옥의 대표적인 단편소설이 모두 수록돼 있다. 소설이란 추체험의 기록,있을 수 있는 인간관계에 대한 도식, 구제받지 못한 상태에 대한 연민,모순에 대한 예민한 반응,혼란한 삶의 모습 그 자체.나는 판단하지도 분노하지도 않겠다.그것은 하느님이 하실 일.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이 의미 없..
2015.01.25 -
미국대학위원회 SAT 추천도서
SAT는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학입학자격시험이다. 한국의 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하다. SAT를 주관하는 미국대학위원회(https://www.collegeboard.org/)에서 SAT를 잘 치루기 위해 읽으면 좋은 책을 공개했다. 이 책들을 읽으면 어휘력,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좋다고 한다. 미국의 여러 교육기관에서 학생들에게 아래 목록을 공유하고 있다. 대학입학자격시험을 주관하는 곳에서 추천하는 책들은 필수 교양도서라고 봐도 좋을 듯하다. 1. 돈키호테 - 미겔 데 세르반테스2. 걸리버 여행기 - 조너선 스위프트3. 고도를 기다리며 - 사뮈엘 베케트4. 나사의 회전 - 헨리 제임스5.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 윌리엄 포크너6. 미국의 아들 - 리처드 라이트7. 노트르담의 꼽추 - 빅..
2015.01.25 -
네이버 지식인의 서재에서 배우는 글쓰기와 독서법
내가 좋아하는 인물의 독서철학을 엿볼 수 있는 곳, 책을 추천받을 때 들르면 좋은 곳, 유명인사들의 독서법을 구경할 수 있는 곳. 고맙기만한 네이버 지식인의 서재(http://navercast.naver.com/list.nhn?cid=254&category_id=254)다. 교수, 서평가, 시인, 의사, 소설가, 화가, 만화가, 번역가, 학자, 피아니스트, 예능PD 등 다양한 직업군의 장인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서재를 들여다볼 수 있다. 내게 네이버 지식인의 서재는 북셀렉션샵이다. 특히 내 인생의 책 영역에서 소개되는 책과 서평은 책을 사는 데 큰 영향을 준다. 글쓰기에 도움이 될만한, 인상깊었던 지식인의 인터뷰 대목을 발췌했다. 소설가 김연수 "타인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소설을 읽는다" 다른 직업도 마..
2015.01.23 -
노벨연구소와 100인의 문호가 꼽은 최고의 세계문학 100
노르웨이 노벨연구소와 노르웨이 북클럽 에디터들은 54개국 100인의 세계적인 문호들에게 세계 문학에서 가장 의미있는 작품(best and most central works in world literature)을 꼽는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저자 밀란 쿤데라, 200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도리스 레싱,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문인이자 1986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월레 소잉카, 199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시인 셰이머스 히니, MIT공대 인문학 명예 교수이자 소설가인 살만 루시디, 199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나딘 고디머, 라틴아메리카를 대표하는 소설가 카를로스 푸엔테스 등 100인의 문호들이 참여했습니다. 노르웨이 북클럽 에디터들은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작품 돈 키호테가 ..
2015.01.20 -
시카고 대학 위대한 고전 프로그램의 추천 고전 목록
"고전만 읽게 했을 뿐인데 삼류대학이 노벨상 왕국이 됐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시카고대학의 위대한 고전 읽기 프로그램(The Great Books Program) 이야기입니다. 석유재벌 존 록펠러 등이 세운 시카고 대학은 설립초기 그저 그런 부류들이 다니는 삼류대학교로 여겨졌습니다. 1929년 시카고대학의 총장으로 부임한 로버트 허친슨은 학생들에게 존 스튜어트 밀 식의 독서법을 전파합니다. 약 100여권의 고전을 읽지 않으면 졸업을 시키지 않았습니다. 어찌보면 강제로 책을 읽게 했지만 그 효과는 대단했습니다. 문제아들의 사고능력에 변화가 생기며 그들의 진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겁니다. 고전읽기로 시카고대학은 삼류대학에서 명문대학으로 진일보할 수 있었습니다. 시카고대학 위대한 고전 읽기 프로그램..
201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