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서점

2023. 7. 6. 20:47라이프/잡문집

반응형

어릴 적 전주에 살았는데 엄마 손을 잡고 서점에 갔다. 1990년대 초반 전주에는 홍지서림이 있었다. 당시에는 홍지서림이 전주 지역을 대표할만한 대형서점이었다. 

 

엄마랑 서점에 가서 책을 읽었는데 주로 '으악 귀신이다', '공포특급' 같은 공포-미스터리류의 책을 좋아했다.

 

중학교, 고등학교 때는 책보다 노래 가사에 집중했던 것 같다. 시스템 다이어리에 발라드 가수들의 노래 가사를 적었다. 그 나이대 친구들도 나처럼 감수성이 풍부했는지 가사집을 빌려달라고 요청하는 친구가 많았다. 그렇게 몇몇 친구들끼리 가사를 돌려 보며 낭만적으로 살았다.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는데 당시에는 한국문학 보다 영미문학을 읽었다. 영문을 읽으면 왠지 더 있어 보이고 멋져 보이는 게 있었다. 그 때 역시 문과 졸업 후 취업 상황이 좋지 않았지만 지금처럼 영어 인플레이션 시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비전을 보고 영문학과에 온 학생들이 많았다.

 

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 글을 좋아했기 때문에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했고 블로그에 많은 사람이 오가고 유명해지면서 어느 언론사 기자와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를 계기로 친분이 쌓여 면접을 봤고 언론사에서 일하게 됐다. 

 

기자들과의 생활은 대체로 즐거웠다. 문예창작과를 나온 선배가 날 반겨주었고 선배들 모두 글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통하는 부분이 많았다. 인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넘치는 곳이었다. 지금은 한국땅에서 가장 우수한 두뇌들이 모여있는 공공기관에서 일한다. 한번은 회식 자리에서 직장상사가 그동안 경험한 회사 중에 어느 곳이 제일 좋았냐고 물었다. 나는 오래 생각할 필요도 없이 그 회사를 이야기 했다. 그 이유로 "가장 따뜻한 회사였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언론사에서 근무할 때 나는 마포구 성산동에 살았다. 집에서 홍대가 무척 가까웠는데 서교동에 북티크라는 서점이 있었다. 북티크에서는 주말에 세시서점이라는 이름으로 독서모임이 열렸다. 그 모임에 자주 참석했다. 모임 구성원은 나같은 회사원이 대부분이었다. 프리랜서, 마케터, 출판업계 종사자 등 그들의 밥벌이 수단도 다양했다.

 

당시 세시서점을 운영했던 20대 여성이 있었다. 그녀의 이름은 혜미였다. 어린 나이였지만 모임을 화기애애하게 진행할 수 있는 능력자였다. 화술도 좋았고 인성도 빛이 나는 젊은 여성이었다. 모임이 시들해지면서 그녀와의 연락도 자연히 뜸해졌는데 지금은 어찌 사는지 궁금하다.

 

세시서점에서 만나 썸을 탔던 그녀도 기억에 남는다. 그녀는 30대였고 아름다웠다. 혜미와 함께 뒤풀이를 가서 셋이서 술을 마셨던 기억이 난다. 같이 술을 마시고 근처 놀이터에서 이야기 하다 키스를 했던 기억도 떠오른다. 그녀는 우리 집에서 가까운 곳에 살고 있었다. 걸어서 7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였다. 오피스텔에서 자취하고 있었는데 자신의 집으로 날 초대했다. 집에는 와인이 있었고 우리는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당시에도 그녀가 날 집으로 부른 이유를 알고 있었지만 이야기를 나누는 도중에 이성적인 감정이 사라져 버렸다. 무척 황당하면서도 신기한 경험이었다. 1시간 남짓 이야기만(?) 나누다 그녀에게 인사하고 황급히 집으로 돌아왔다. 그때가 오후 세시쯤이었다. 카카오톡에서 보니 그녀는 다른 남자와 결혼하여 아이도 낳고 잘 살고 있었다.

 

얼마전 북티크가 있던 서교동에 갔는데 북카페는 사라지고 없었다. 홍대 사거리에서 합정으로 가는 길에 있는 북티크는 과거의 그 북티크가 아니다. 사람이 바뀌었고 공간도 더 좁아졌다. 내 30대의 한 조각은 여전히 그 자리에 머물고 있는데 애틋한 기억 속의 서점이 사라졌다는 게 너무나도 슬펐다. 10명 남짓한 사람들이 모여 마주앉아 자신이 읽은 책을 추천하며 떠들던 장면이 떠오른다.

 

요즘은 조지오웰의 에세이를 주로 읽는다. 조지오웰의 에세이를 논평하는 유시민 작가의 동영상을 감상하다 자연스레 세시서점까지 기억이 가 닿았다.

 

서교동의 오후 3시가 몹시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