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휴대전화 통화시대 가능할까 <월간조선 기고문>

2012. 6. 26. 10:20라이프/이것저것 리뷰

반응형

월간조선


시사 월간지 월간조선 7월호에 보이스톡 관련 글을 기고했습니다. 보이스톡이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울까 라는 의문을 가진 이들을 생각하며 글을 썼는데 좀 더 쉽게 써야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또 시시때때로 기술, 정책 등이 변화하는 IT 칼럼의 어려움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날이 덥습니다. 아무쪼록 찌는 듯한 여름 더위에 유의하시고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무료 휴대전화 통화’가 뜨거운 감자다. ‘카카오’사(社)가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 ‘보이스톡’을 공개하면서 통신업계 전체의 지각이 흔들리고 있다. 카카오는 무료로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앱(app·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을 만든 회사다. 이번에 출시한 보이스톡은 카카오톡 내부의 음성통화 기능을 이용, 카카오톡 사용자끼리 무료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톡을 ‘카톡’이라 줄여 부르듯 보이스톡은 ‘보톡’으로 불린다.
  
보이스톡처럼 인터넷을 이용해 모바일 기기끼리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을 일컬어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 또는 ‘m-VoIP’라고 한다. 대표적인 m-VoIP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스카이프’, NHN의 ‘라인’, DAUM의 ‘마이피플’ 등이 있다. 많은 서비스가 있는데, 유독 보이스톡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왜일까.
  

매일 2100만명 이용

결론부터 말하면 카카오톡 때문이다. 무료 문자 기능과 음성통화 기능을 함께 갖춘 서비스의 출시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2월 다음커뮤니케이션이 마이피플 앱을 통해 국내 최초로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개시했고 이어 SK커뮤니케이션즈의 네이트온톡, NHN의 라인이 공개됐다. 하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카카오보다 훨씬 덩치가 큰 포털이 내놓은 서비스가 카카오톡에 밀려 힘을 못 쓰는 이유는 뭘까. 문제는 바로 ‘선점(先占)’이었다. 카카오톡은 국내에 스마트폰 열풍이 시작될 때, 이미 ‘무료 문자’란 개념을 가장 먼저 확보했다. 메신저 프로그램은 메시지를 주거니 받거니 하는 상호 관계용이기 때문에 나 혼자만 새로운 서비스로 옮긴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다. 카카오톡 말고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다수의 지인이 여전히 카카오톡에 머물러 있어 섣불리 둥지를 옮길 수 없다. 결국 카카오톡보다 나중에 출시된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국내 3600만명, 해외 1100만명을 합치면 4700만명에 이른다. 이는 다음(마이피플·2200만명), SK커뮤니케이션즈(네이트온톡·600만명), NHN(라인·400만명) 등 포털 3사의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 이용자를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숫자다. 선점을 이점으로 활용해 막강한 이용자층을 확보한 카카오톡에 음성통화 기능을 얹어 시장에 내놓았으니 어찌 보면 이슈가 되는 게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실사용자면에서도 카카오톡은 압도적인 1위다. 가입자 중 2100만명이 매일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으며, 수신되는 무료 메시지만 하루 26억 건에 달한다. 실사용량 부문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어머니와 아들, 형제지간, 연인 사이, 심지어 교수님과 제자도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눌 정도니 가히 ‘국민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불릴 만하다.
  
카카오의 힘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 카카오톡과 연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카카오스토리’는 시장에 출시된 지 열흘이 채 되기도 전에 1000만 가입자를 확보하며 카카오의 위력을 입증했다.
  

“통신사에 항상 감사하는 카카오팀 드림(사랑해요~ LG)”

카카오톡은 카카오의 소유다. 이런 카카오가 통신사의 주(主)수익원인 음성통화를 무료로 바꿨으니 통신사들은 놀란 토끼마냥 당황할 수밖에 없다. 통신사들이 보이스톡과 같은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경계하는 이유는 보이스톡 무료 통화로 인한 매출 감소 우려 때문이다. 이미 카카오톡에 문자 서비스 시장을 빼앗긴 경험이 있는 이동통신사 입장에서 보이스톡이 주수익원인 음성통화 서비스까지 빼앗아 갈지도 모르니 마음을 졸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통신사 SKT와 KT는 보이스톡 같은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가 전면 도입될 경우 통화 수입이 급감하고 이동통신 시장의 투자 생태계가 깨져 결국 소비자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보이스톡 출시로 당장 음성통화량이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 가입자들이 낮은 요금제로 요금제 자체를 변경할 수도 있어 통신사의 근심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음성통화량이 많아 높은 요금제 선택이 불가피했던 통신사 가입자들이 보이스톡으로 음성통화를 대체할 수 있게 돼 낮은 요금제로 변경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SKT와 KT는 m-VoIP를 특정 요금제 이상 가입자에 한해 제한적으로 허용했다. 3G 가입자의 경우 5만4000원 이상 요금제를 이용해야 하며 LTE 가입자의 경우 5만2000원 이상의 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만이 m-VoIP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반면 LG유플러스는 SKT·KT와 달리 ‘전면 허용’으로 대응했다. 자사(自社) 가입자라면 요금제에 관계없이 누구나 m-VoIP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기존 통신시장에서 3위로 밀려나 고전을 면치 못하던 LG유플러스의 고육지책(苦肉之策)으로 풀이된다. LG는 출혈을 감수하고서라도 가입자를 늘려야 하는 형편이다.
  
카카오는 LG유플러스의 m-VoIP 전면 허용 소식을 카카오톡 공지로 소개하며 이용자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통신사 분들께 항상 감사하는 카카오팀 드림(사랑해요~ LG).”
  

“부분적 무료 통화”

무료 통화 서비스로 알려진 보이스톡은 엄밀히 따지면 ‘부분적’ 무료 통화 서비스로 볼 수 있다. 와이파이(WiFi·무선인터넷) 환경에서는 무료지만, 와이파이 환경이 아닌 장소에서는 보이스톡 이용 시 전화를 거는 이와 받는 이 모두 3G 데이터 요금이 발생한다. 또 전화를 건 사람이 와이파이존(무선인터넷 이용 가능지역)에 있다 하더라도 전화를 받는 사람이 3G 환경에 있을 경우 전화를 건 사람은 요금이 발생하지 않지만 받는 이는 3G 데이터 요금이 발생한다.
 
서비스마다 차이를 보이지만 보통 5분 통화에 약 1MB 정도의 데이터가 차감된다. 자신이 통화를 한 만큼 데이터가 줄어든다. 전화통화에 데이터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식이므로 와이파이 환경에서는 공짜로 무제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3G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이용할 때에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요금제 이름만 놓고 보면 마치 무제한 음성통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SKT와 KT는 3G 기준 5만4000원 이상 요금제별로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에 쓸 수 있는 데이터량을 정해놓았다.
 
SKT는 5만4000원짜리 3G요금제에서 월 1000분(데이터 기준 200MB)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6만4000원 요금제에서는 한 달 1500분(300MB), 7만8000원 요금제에서는 2500분(500MB)을 허용하고 있다. KT는 SKT보다 많은 양을 허용한다. 5만4000원 요금제에서는 월 3750분(750MB) m-VoIP를 쓸 수 있다. 6만4000원 요금제에서는 월 5000분(1000MB), 7만8000원 요금제에서는 7500분(1500MB)을 쓸 수 있다.
  
와이파이 지역과는 달리 3G망을 이용하면 m-VoIP를 이용해 전화를 거는 사람뿐 아니라 받는 사람의 데이터도 동일 차감된다. 받는 이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이거나 와이파이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 무턱대고 수신하면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음질은 ‘탁월’… 안정성은 “글쎄”

카카오 보이스톡이 6월 4일 사실상 출시됐다는 소식에 필자도 앱스토어를 뒤져 보이스톡 앱을 검색해 봤다. “보이스톡”이란 단어를 입력 검색해도 앱은 도무지 보이질 않았다. 알고 보니 보이스톡은 개별 앱이 아니라 카카오톡의 기능 중 하나였다.
  
보이스톡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카카오톡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업데이트 후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카카오톡 ‘설정’ 화면에서 ‘보이스톡 날개 우선적용 신청’을 하면 된다. 우선적용 신청을 마치고 카카오톡 친구 목록을 누르면 1:1 채팅 오른편에 보이스톡이 추가돼 있을 것이다. 보이스톡을 누르고 상대방이 수락하면 즉시 음성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보이스톡을 실제 이용해 보니 통화 음질은 깨끗한 편이었다. 딜레이 또한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놀라운 통화품질을 보였다. 필자 개인적으론 세계적인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 스카이프(Skype·마이크로소프트사 소유)보다 음질과 반응속도에서 나아 보였다.
  
그러나 한 사람이라도 버스를 비롯한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면 상대방이 말을 알아듣기 어려울 정도로 뚝뚝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다. 또 보이스톡 통화중 일반전화가 오면 바로 끊긴다. 아직 안정성 면에서는 불안한 모습이었다. 이는 음성통화망을 이용하는 기존 방식의 음성통화와 달리 데이터망을 활용하는 모바일 인터넷전화의 한계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보이스톡만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다.
  
예컨대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3G망을 이용해 뉴스앱으로 기사를 볼 때 화면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기도 한다. 라디오 수신 앱 역시 이동 중에 중간중간 끊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앱과 마찬가지로 보이스톡이 데이터망을 이용하다 보니 이동 중에 끊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이통사들의 선택은…

이동통신사와 카카오의 ‘전쟁 아닌 전쟁’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는 “보이스톡 문제를 시장 자율에 맡기겠다”며 선을 그었다. 카카오 측은 방통위 결정에 대해 “나쁘지 않은 판단”이라고 밝혔다. 공이 사실상 이통사로 넘어갔지만, 그들은 쉽지 않은 선택을 해야 한다. 이통사 입장에선 보이스톡을 제재하면 그만이지만, 소비자들의 거센 여론을 잠재우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LG유플러스가 이미 전면 허용한 상황에서 KT와 SKT도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일단 현행유지로 여론을 다독인 후 대선 때 모종의 ‘빅딜’을 한다는 말도 나온다. 《경향신문》은 “차라리 보이스톡을 현재 수준 정도로 허용하는 대신 연말 대선정국에서 제기될 통신요금 인하 문제와 보이스톡 문제를 ‘빅딜’하는 등의 전략적 판단도 필요하다”는 한 업계 관계자의 얘기를 전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전화는 1896년 경복궁에 설치된 자석식 교환기가 처음이라고 한다. 100여 년의 세월을 넘어 한국은 지금 ‘무료 통화’의 대중화를 두고 대형 논란이 진행 중이다. 누구나 공짜로 전화를 사용할 수 있을까. 이 ‘역사적 선택’은 결국 이용자의 몫이다.⊙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m-VoIP)

m-VoIP(엠브이오아이피, 엠보이프)는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뜻하는 용어로 와이파이, 3G망과 같은 휴대폰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해 휴대폰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출근길에 스마트폰 앱으로 뉴스를 보거나 라디오를 듣는 것과 같이 인터넷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하는 것을 말한다. 1 대 1 방식의 기존 전화방식과 비교했을 때 다수 대 다수 방식의 인터넷망을 활용하는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는 많은 이용자가 몰릴 경우 통화품질이 떨어지게 되나 영상통화, 메시지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통화요금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