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3)
-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 조회를 활용하는 방법
네이버 트렌드라는 이름으로 특정 키어드의 검색량을 측정해주던 서비스가 검색어 트렌드 조회라는 이름으로 바꼈다.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고 조회하면 네이버에서 얼마나 많이 검색됐는지 검색량과 검색추이를 그래프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기업 마케팅팀은 검색어 트렌즈 조회 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네이버 데이터랩 http://datalab.naver.com/ca/step1.naver 위 주소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난다. 1번 영역에 비교하고 싶은 키워드(주제어)를 각각 입력하고 2번 영역의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자.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예를 들어 내가 소니컴퓨터엔터테인먼트의 기업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이라고 가정해보자. 플레이스테이션4에 관한 글을 쓰려고 하는데 한국인들이 어떤 검..
2016.09.12 -
국내 인터넷 사이트 순위 확인하기 SimilarWeb
SmilarWeb은 웹사이트의 방문자 수, 트래픽 소스, 유사 사이트 등의 통계를 파악하는 웹사이트다. 국가별로 웹사이트 랭킹을 소개하는 코너가 있어 소개한다. 과연 한국에서는 어떤 웹사이트가 '잉끼' 좋은지 파악할 때 방문하면 좋다. SimilarWeb 한국 인터넷 랭킹 50 https://www.similarweb.com/country/korea,_republic_of 위 주소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랭킹 페이지가 나타난다. 역시 네이버와 구글이 강세였다. 토렌트 씨드를 공유하는 웹사이트도 여럿 랭크되어 있었다. 48위에 랭크된 warning.or.kr을 보고 한참 웃었다! :D
2016.08.30 -
소셜미디어는 일시적 유행에 불과한가
소셜미디어는 과연 일시적 유행에 불과한지 의문을 던지고 숫자와 통계를 인용하여 답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흥미로운 부분을 몇가지 짚어봤어요.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30세 이하이며 그들 중 96%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참여했다. 페이스북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연령대는 55세-65세의 여성이다. Fad(일시적 유행)라기 보다는 Trend(추세)라고 보여집니다. 인포그래픽 소스 http://www.inspiredm.com/social-media-fad/
201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