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3)
-
빈 살만은 얼마나 부자일까
모하마드 빈 살만은 1985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사우디 왕의 3번째 처의 아들이다. 리야드 킹 사우드 대학에서 법학과를 졸업했다.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아버지를 잘만난 덕에 사우디 정부 요직을 꽤차며 경제를 익혔다. 2015년 아버지가 왕위에 올랐을 때 왕자의 자리를 꽤차며 이름을 알렸다. 애플과 시가총액 세계 1위 다투는 기업의 컨트럴 타워 사우디 아라비아 하면 석유를 빼놓을 수 없다. 끝없이 터져 나오는 원유로 오일머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엄청난 부를 가진 인사들이 알려져 있다. 맨시티 구단주 만수르가 대표적이다. 사우디 하면 아람코를 빼놓을 수 없다. 애플과 함께 시가총액 세계 1위를 다투는 석유회사로 빈 살만이 아람코의 컨트럴 타워가 된다. 임기 동안 아람코를..
2022.11.20 -
네이버 삼성그룹 포털 노출 막았다는 기사를 보고
삼성그룹이 네이버와 Daum에 영향력을 행사해 이재용 부회장에게 불리한 기사가 노출되지 않도록 했다는 뉴스기사를 봤다. 한겨레는 검찰 수사자료를 확보했다고 밝히며 삼성미래전략실(과거 구조조정본부) 전무가 삼성 미래전략실 사장에게 보낸 메시지가 있다고 보도했다. "지금은 네이버와 다음에서 기사들이 모두 내려갔다. 포털 쪽에 부탁해뒀다"며 문자메시지 내용 일부를 공개했다. 기사를 보며 나름의 소회를 적어본다. 최대 광고주 삼성 앞에 무릎 꿇은 언론 어느 기자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다. "한겨레가 삼성 까는(비판하는) 기사를 썼을 때 삼성이 한겨레에서 광고를 빼거나 줄였던 건 업계에선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지", "야, 막말로 최대 광고주가 삼성인데 광고 하다가 안하면 그 타격이 얼마나 크겠냐?". 광고로 먹고 ..
2017.07.20 -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의 지시사항 문건
삼성전자가 소니를 비롯한 일본의 글로벌 IT기업을 저만치 따돌리며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인터브랜드가 실시한 2012년도 글로벌 브랜드 순위에서는 대한민국 기업 최초로 9위에 이름을 올리며 대한민국 최고 기업이자 글로벌 브랜드가 되었음을 만천하에 알렸습니다. 가정용 전기사용량 2위(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로 매월 900만원이 넘는 전기요금을 내는 이건희 회장은 과연 어떤 사람일까요? 이건희 회장 관련 기사를 검색하다 한겨레에서 보도한 지시사항 문건을 보게 됐습니다. 읽어보니 이토록 치밀하고 회사 전반을 아우르는 경영 전략과 정보력이 삼성그룹을 글로벌 기업의 반열에 오르게 한 원동력이 되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김용철 변호사(전 삼성그룹 법무팀장)는 최근 삼성 이건희 회장..
201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