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9)
-
직장인 재테크 세이노의 가르침 PDF파일 자수성가 부자의 미디어 기고글
재테크 관련 정보를 찾다 세이노(Say No)의 가르침이라는 무료 PDF 책을 발견했다. 정식으로 출판한 책이 아니라 세이노라는 부자가 여러 잡지와 본인이 운영하는 Daum 카페에 기고한 글을 누군가 모아서 PDF로 돌려보고 있다고 했다. 다듬지 않아 거칠고 속어도 등장하지만 그만큼 생동감이 느껴지고 재미도 있다. 이코노미스트, 동아일보, 신동아 등의 잡지에 기고했을 정도로 상당히 유익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요즘 회사에서 영업을 담당하며 먹거리를 찾는 하이에나(?)로 돌아다니고 있는데 영업에 관한 챕터가 따로 있어 꽤 도움이 될 것 같다. 솔직한 글에서 인간미도 느껴져 한 번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나보다 먼저 인생과 성공을 경험한 인생선배의 노하우를 엿보고 싶다면 아래 파일을 내려받아 읽어보자.
2019.10.12 -
뉴스타파 후원을 시작하는 이유
기자는 아니지만 언론사에서 기자들과 함께 4년 1개월을 근무했다. 조선과 중앙에서 근무하면서 많은 기사를 접했고,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뉴스타파는 현재 MBC 사장으로 취임한 최승호 PD가 MBC에서 해직되고 차린 독립언론으로 유튜브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오늘부터 매달 소정의 금액을 후원하기로 했으며 블로그 오른쪽에 배너도 달아두었다. 뉴스타파를 후원하는 이유 3가지를 정리해보았다. ▶ 뉴스타파 후원하기 https://newstapa.org/donate 1. 본래 기능 상실한 언론사들에 대한 실망감조선/중앙/동아 심지어 한겨레 및 군소 언론사까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의 곪고 썪은 부분을 폭로하여 더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만드는, 자정작용을 하는 장치로..
2018.06.19 -
신동아 선정 세계를 움직인 100권의 책
동아일보의 시사월간지 신동아가 세계를 움직인 100권의 책을 선정했다. 선정된 책들의 목록은 1968년 1월호 신동아 별책부록으로 증정했다. 100명의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 집계했다. 인생관 내지 세계관의 바탕이 되었거나 그것의 변화를 초래한 책, 인지의 계발과 학문의 발달에 이바지한 책, 사회변동과 정치적 발전에 직접 자극이 된 책으로서 고전으로부터 현대문학까지를 그 대상으로 했다. 사상 001 베다(Veda)(BC 1200∼1500년경)002 대장경(大藏經, 三藏, Tripitãka)(BC 1200∼이래 2500여년 동안 성장 발전)003 공자(孔子)/논어(論語)004 플라톤(Platon)/대화록(對話錄, Dialogues)005 장주(莊周)/장자(莊子)006 성서(聖書, The Bible)(50∼1..
2015.01.29 -
동아일보 선정 21세기 신고전 50권
동아일보는 창간 85주년을 맞아 2005년 8월 8일부터 11월 11일까지 약 2달에 거쳐 21세기 신고전 50권을 연재했다. 50회에 거쳐 매일 한권씩 소개했다. 젊은 고전을 발굴하여 소개해 즐거운 책 읽기의 분위기를 조성하자는 취지였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50인의 추천을 받았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21세기를 살아가는 청소년과 성인 독자들이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 세월이 흘러도 유행에 흔들리지 않을 명작을 선정했다고 한다. 아래 목록에 나온 책을 읽고 주소를 클릭해 전문가의 서평을 읽어보면 더욱 좋다. 동아일보 선정 21세기 신고전 50권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740?p=337 1. 우연과 필연 - 자크 모노2. 농담 - 밀란 쿤데라3..
2015.01.27 -
12개 주요 커뮤니티 성향 포지셔닝 맵
동아일보 기사에 소개된 12개 주요 커뮤니티 성향 포지셔닝 맵을 소개합니다. 뽐뿌, SLR클럽, 보배드림, 일베, 디시 등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만한 커뮤니티 12개의 일평균 방문자수/순위, 주요 사용자의 성별/남녀비율, 설립목적 및 커뮤니티 정치 성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인포그래픽입니다. 대형카페가 빠져있는 점은 아쉽습니다. 커뮤니티 바로가기 링크는 '대한민국 인터넷 커뮤니티 분포지도'를 참조하세요. 동아일보 "왜 국정원은 오유에 댓글을 올렸을까" http://is.gd/BBquIh
2013.05.16 -
종합편성채널(종편)의 광고영업
편집국 간부 출신 "한번 보자" 기업들 '골머리' via 한겨레신문(최성진 기자 csj@hani.co.kr) 한겨레신문의 종편(종합편성채널) 관련 기사다. 코미디언 강호동의 1박2일 하차 논란과 관련한 루머의 중심에 종합편성채널이 있다. 종합편성채널은 일반 지상파와 마찬가지로 드라마, 오락, 교양 등 모든 장르를 편성하여 방송할 수 있는 채널을 말한다. 지상파는 하루 19시간의 방송시간 규정이 있는 것과 달리 종편은 24시간 종일 방송이 가능하며 중간 광고도 허용된다. 조선일보의 TV조선, 중앙일보의 jTBC, 동아일보의 채널A, 매일경제의 매일방송이 바로 종편의 주인공들이다. 한겨레 기사는 종편의 출현으로 인해 일어날만한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지상파와 동일한 사업모델이면서도 규제는 훨씬 적게 받는 종..
201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