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5)
-
인터넷 속도 측정 가장 빠르게 하는 법
인터넷에서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때 갑자기 속도가 느려지는 일, 누구나 한번쯤 겪는 증상일 겁니다. 저는 현재 KT 500메가 콤팩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오늘 속도 측정을 해보니 100메가도 나오지 않아 고장신고를 한 상황입니다. 1년에 한두번씩 속도가 느려져서 측정해보면 여지없이 속도가 느려져 있더군요. 눈뜨고 당하지 않도록 독자분들도 수시로 속도 측정을 해보세요! 신뢰할 수 있는 정부기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라 더욱 추천드립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하기 http://speed.nia.or.kr/ 크롬에서는 작동이 안 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접속해야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요. '인터넷속도측정' 버튼을 누르세요. 1번에서 통신사/사..
2018.07.31 -
국내 애드테크 시장현황 분석 보고서
KT경제경영연구소 디지에코에서 국내 애드테크 시장현황 분석 보고서(DMC 미디어 제작)를 무료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IT 기술(빅데이터 등)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광고의 형태도 급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검색광고, 디스플레이(배너) 광고 정도에 머물렀다면 요즘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리마케팅(리타겟팅, 광고주의 웹사이트를 방문했던 이용자를 타겟팅하여 각각 다른 광고 메시지를 띄우는 기법) 광고를 하고 각종 통계 분석 툴을 활용해 광고 효율성과 성과를 측정하는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마케팅이 대세입니다. 이에 따라 기업 마케터의 자질과 자격요건도 변화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구글 애널리틱스 같은 웹로그 분석 서비스 사용경험 뿐 아니라 R(통계 프로그래밍 언어) 등 프로그래밍 능력까지 요구..
2017.01.30 -
인모비 직원에게 배우는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
인모비 커넥트는 모바일 광고 에이전시 인모비가 서울에서 개최한 모바일 마케팅 컨퍼런스의 이름입니다. 유튜브에서 네이티브 광고 관련 자료를 찾다가 공부가 될만한 자료를 찾아 소개합니다. 네이티브 광고의 역사, 오늘날의 네이티브 광고, 네이티브 광고의 형태 및 사례 등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강연입니다. 인모비는 작년 마이크로소프트에 약 2조 3천억원에 인수됐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구글이 애드몹이라는 모바일 광고 에이전시를 인수한 일도 있었고요. 최근 국내에서는 엔서치마케팅이 KT(나스미디어)에 인수된 일이 있었습니다. 광고시장의 급속한 변화 때문인지 IT 대기업이 온라인/모바일 광고회사를 인수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강연 주요 내용 모바일 광고 유형1) SMS2) 디스플레이(..
2017.01.27 -
KT의 아이폰 강사로 활동하게 됐습니다.
KT의 아이폰 교육 담당자분으로부터 연락을 받았습니다. 아이폰 아카데미의 강의 진행 제안이었습니다. 노량진 KT 빌딩과 명동 프리스비 매장에서 두 차례의 강의를 진행합니다. 블로그 강의는 기업, 공무원, 기자, 교사, 대학생, 중학생, 주부, 군인 등 다양한 분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해본터라 어느 정도 잔뼈가 굵었다고 말할수 있겠지만 아이폰 강의는 처음이라서 설레입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강의가 됐으면 합니다. ☞ 스마트폰 아카데미 피팅클래스 신청하기 http://www.show.co.kr/sbrand2/iphone/academy/openclass.asp
2010.03.09 -
기업블로그 사례, KT
블로그 URL KT 블로그 바로가기☞ http://letskt.prstory.net/ 블로그 SUMMARY ※ PRSTORY의 담당자분께서 해당 블로그는 단순 아카이빙용이라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오해가 없도록 본문에 약간의 수정을 가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블로그는 동영상 보도자료 아카이빙용이라고 합니다. 댓글내용, "TAGSTORY는 작년 3월 동영상보도자료(VPR) 서비스를 런칭했는데요, 기업들이 자기 정보를 인터넷세계에 오픈하여, 블로거를 비롯한 시티즌마케터들과 소통하여야 한다는 컨셉에서 출발하였습니다. 누구나 기업의 컨텐츠를 퍼가서 다양한 형태의 매쉬업에 활용하도록 하자는 취지였으며, 이미 지난 1년간 저희가 서비스한 VPR 콘텐츠가 카페, 블로그 등 여러 경로로 확산되어, 블로거를 비롯한 시..
2008.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