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5)
-
기업블로그 운영과 필진 소통에 관한 단상
사내 직원들과 함께 기업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신입 직원이 주축을 이룬 필진들이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면 나는 글을 편집하고 발행한다. 필진을 관리하기에 워드프레스 만큼 좋은 CMS(콘텐츠관리시스템)도 없다. 입사하면서 만든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필진 각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그들에게 필진으로서의 관리자 접근권한을 부여했다. 직원들은 어디에서든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만 있다면 블로그에 글을 등록할 수 있다. 한달 동안 20개 이상의 글을 발행했다. 필진 모두 각자 맡은 일들이 따로 있고 기업블로그 글은 부수적으로 진행하다보니 각자의 업무로 바쁠 때는 글이 올라오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내가 직접 글을 썼다. 최소 6개월이 지났을 때 가시적인 성과가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달 간 기업블..
2016.01.03 -
워드프레스 강좌 6강 유료테마를 구입하는 방법
워드프레스가 무서운 점은 다른 CMS 툴과 달리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다는 겁니다. 플러그인(https://wordpress.org/plugins/)을 예로 들면 전세계의 개발자들이 누구나 자유롭게 플러그인을 개발하고 등록할 수 있게 해뒀습니다. 이렇게 구축된 생태계는 워드프레스 이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고, 개발자들은 각자 무료 플러그인을 개발하고 기부금을 받거나 유료 플러그인 판매로 수익을 올릴 수 있게 했습니다. 마치 애플의 앱스토어나 구글의 플레이스토어 같은 환경이 구축된 겁니다. 테마도 마찬가지입니다. 무료테마뿐 아니라 전세계의 웹디자이너, 디자인 스튜디오와 테마 전문 제작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유료테마를 만들어 테마 판매 사이트에 올려놓고 있습니다. 인기 테마들은 수천건이 판매되기도 해 테마제작..
2014.10.18 -
워드프레스를 기업과 개인에게 추천하는 이유
한국 기업이 기업 블로그나 기업 홈페이지를 구축할 때 워드프레스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네이버나 티스토리가 뛰어난 기능을 자랑해서 그런 건 아니었다. 잠재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국민 검색이 되어버린 네이버에서 글이 더 잘 보여질 거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그런데 안드로이드를 운영체제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구글 검색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홍보글로 뒤덮인 네이버에 염증을 느낀 네티즌들은 점점 더 구글 검색을 선호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에서 검색이 잘 된다는 이유로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해왔던 기업과 개인들은 드디어 워드프레스로 갈아탈 준비를 해야하는 시기가 왔다. 네이버 걱정은 이제 그만! 검색엔진최적화에 탁월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쓴 글이 네이버, 구글, 다음과 같은 검..
2014.09.19 -
나만의 홈페이지 무료로 쉽게 만들기 Wix
Wix는 홈페이지, 블로그, 쇼핑몰을 손쉽게 만들어주는 사이트의 이름이다.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무료로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의 등장이 그다지 신선한 소식은 아니다. 게다가 WordPress와 같은 글로벌 CMS, 티스토리와 같은 완성도 높은 블로그 서비스가 이미 인기를 끌고 있어 새로운 서비스가 나와도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게 현실이다. 불리한 환경에서도 Wix는 수백개가 넘는 디자인 스킨,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사이트 제작 방식, 손쉬운 모바일 화면 편집의 용이함 등 기능상의 강점을 인정받아 벌써 4천만 개 이상의 사이트가 만들어졌다. 과거 설치형 워드프레스(Wordpress.org)를 기반으로 영문 기업블로그를 개설하고 운영한 경험이 있다. 워드프레스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는 Wix가 워드..
2014.05.12 -
워드프레스 기반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준비물
워드프레스(.org)는 설치형 블로그 서비스의 이름입니다. CMS(콘텐츠 메니지먼트 시스템)라고 불리기도 하며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면서 서울시청 홈페이지를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변경하면서 국내에도 워드프레스가 많이 알려졌습니다. 요즘은 서점에서 워드프레스 관련 서적을 만날 수도 있으며 워드프레스 구축 대행/운영 웹에이전시 생겨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워드프레스.org 기준으로 블로그 개설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웹호스팅 서비스(무료로 혹은 유료로) 워드프레스는 wordpress.com과 wordpress.org 이렇게 두가지 서비스가 있습니다. 전자는 우리나라의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처럼 아이디를 만들고 바로 블로그에 글을 올릴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 호스팅 비용이 따로 들어가지 않습..
2013.02.21